최경일 작성 (문의사항은 contact@idream4all.org)
아래의 설명은 RACHEL (Remote Area Community Hotspot for Education and Learning) 서버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이다.


1. Introduction
레이첼 RACHEL (Remote Area Community Hotspot for Education and Learning) 은 영문 그대로, “소외된 지역사회의 교육과 배움을 위한 인터넷 서버” 라고 명명되었다.
이를 위하여 World Possible 재단 (www.rachelfriends.org) 에서는 이 시스템에 들어가는 많은 정보들을 무료로 배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관들과 접촉하여 라이선스를 체결하였고, 이를 웹페이지에서 테스트해볼 수 있도록 해놓았다.
예를 들어, 영어판 64GB 레이첼 서버는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보여진다.
무엇보다도, 전세계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는 칸 아카데미 Khan Academy 의 교육용 비디오 자료들과 학교를 위한 위키피디어 Wikipedia for Schools 의 정보는 가장 대표적으로 교육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료들이다.
자, 레이첼 서버를 만들어보자.
서버를 구성하는 자세한 내용은 관련링크 [1] 에서 찾아볼 수 있다.
이곳에서는 이렇게 구성된 레이첼 서버를 구성하는 Raspberry Pi 하드웨어를 어떻게 전기가 없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보았다.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도로 다루기로 하자.
2. 준비물
- Raspberry Pi 3B+ 1 set
- SD card 64 GB 이상
- Router connected to Internet + RJ45 cable
3. 기본 배경 설명
기존에 rachelfriends.org 에서 배포하고 있는 서버 이미지는 Raspberry Pi 3B+ 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.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처음부터 새로운 Raspbian OS 를 깔고, 그곳에서부터 RACHEL 기능을 붙여나가야 한다.
영문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링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.
- https://github.com/rachelproject/rachelpiOS/blob/master/installer.py
- http://community.rachelfriends.org/t/raspbian-stretch-install-script/888
4. RACHEL Making
- 3B+ 용 Raspbian Stretch Lite 을 다운 받아서 SD Card (64GB 이상) 에 굽는다
- rachel installer zip 이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그 내용을 SD card 의 Boot partition 에 복사해 넣는다.
- 이렇게 준비된 SD Card 를 삽입한 뒤에 Raspberry Pi 를 시작한다.
- login: pi
- password: raspberry
- 아래의 모든 작업은 terminal 에서 진행한다.
- 첫번째로 SSH 를 살리고, Localisation 을 세팅한다.
- Sudo raspi-config
- ==> 5. Interfacing Options ==> SSH enable.
- ==> 4. Localisation Options ==> Select country & Select WIFI country
- 이 서버의 IP 주소로 컴퓨터에서 RPI 에 연결한다.
- PuTTY 등을 이용하여 SSH 10.10.10.10
- 어쩌면 password 를 새로 바꿔야 할 지도 모른다 (예를 들어 pi/raspberry)
- Sudo raspi-config
- OS update: 혹시 모르니 마지막 버전으로 OS 를 업데이트 한다.
- sudo apt-get update
- sudo apt-get upgrade
- sudo apt-get install gparted
- Rachel Install:
- cd /boot/rachel_installer
- sudo ./installer.py –wifi-ssid=ID-RACHEL
- 그리고 오랫동안 기다린다.
- 다 끝나면, 자동으로 reboot 가 된다. 이후에는 ID-RACHEL 의 WIFI HotSpot 을 찾을 수 있고, 이에 연결하면 된다.
- Module 설치 (http://oer2go.org 에서 모듈들을 찾을 수 있다)
- File Share 설치
- sudo rsync -Pavz rsync://dev.worldpossible.org/rachelmods/en-file_share ./
- 위키피디어 설치 (2.6 GB – ZIM version / 6 GB – static version)
- sudo rsync -Pavz rsync://dev.worldpossible.org/rachelmods/en-wikipedia_for_schools ./
- perl /var/kiwix/bin/rachel-kiwix-start.pl (이걸 안 하면 wiki가 동작을 안한다)
- 만약에 문제가 있다면, static version 을 다운 받아서 설치한다.
sudo rsync -Pavz rsync://dev.worldpossible.org/rachelmods/en-wikipedia_for_schools-static ./
- File Share 설치
- 그리고 다른 모듈들을 추가로 설치한다 – 아주 오래 걸린다.
(시간이 없으면 다음으로 넘어간다. 나중에 할 수 있다)- English eBooks
- African Storybook Project
- Career Girls
- CK12
- GCF2015
- KaLite (Essentials = 21.7 GB // Lite = 40 GB)
- Pratical Action (1.1 GB)
- Hesperian Health Guides (0.9 GB)
- Teacher Training (0.2 GB)
- World Map (zoom 9 = 2.6 GB // zoom 10 = 10.7 GB)
- RACHEL modules 들을 이미 다른 곳에 받아놓았다면, /var/www/modules 밑으로 복사하여 넣는다.
- 그리고 복사된 module들의 주인을 아래와 같이 바꿔준다 (만약에 root 로 되어있다면…)
- sudo chown -R pi:users /var/www/modules/*
- sudo chmod 755 /var/www/modules/en-kalite-ess
- 다 끝나면, Reboot : “sudo reboot now”
- 시스템 암호
- SSH 로그인은 pi/rachel
- RACHEL 시스템의 Admin 은 login/password = admin/Rachel+1